소식/보도/성명

전국을 뒤흔들 「너를 위한 충전기 5」, 지금 만나러 갑니다!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전국을 뒤흔들 「너를 위한 충전기 5」, 지금 만나러 갑니다!


매년 9월 1일은 "충전기 만나는 날"

한국노총 교육청노동조합연맹이 2025년 9월 1일, 「너를 위한 충전기 5」를 내놓습니다.

feda53f57d8882289abe31356f6fefd2_1741524670_3664.jpg
 

대한민국 전체 공무원 1,171,070명.

교원 364,066명(전체 공무원의 31%)

교육청·학교 일반직 지방공무원 74,798명(전체 공무원의 6.4%, 일반직 전체 공무원 571,371명 대비 13.1%)


네, 교육자치 일반직 지방공무원(이하 교육자치공무원)으로 분류되는 우리는 전체 공무원의 6.4%이고, 교원과 비교하면 20.5%에 불과한 소수직렬 공무원입니다.

물론 우리 안에서도 직렬간 인원이 나뉘지만, 교육자치공무원으로 분류되는 우리는 교육과 학교 현장에서 20%가 아닌 2000%의 업무를 담당하며 교육현장의 척추이자 대퇴골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교육자치공무원이 사라진 학교와 교육현장, 상상이 될까요?


하루가 멀다하고 쏟아지는 공문과 새롭게 발생하는 업무, 사회의 요구가 다양하고 깊어질 수록 교육행정에 대한 수요는 다양해지고 깊이는 깊어집니다.

그러하기에 우리는, 스스로 우리를 돕는 우리만의 바이블을 만들어 버렸습니다.

업무매뉴얼의 홍수 속에, 넘치는 업무 매뉴얼 속에 굳이 또 우리가 매뉴얼을 만든 이유는, 정녕 우리에게 필요한, 그 디테일과 날것의 그 느낌을 공식 매뉴얼에서는 기대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좋은 것만 들려주는 매뉴얼, 단점은 말하지 않는 매뉴얼, 업적과 시스템에 대한 홍보로 가득한 매뉴얼, 너희는 일하는 도구라며 가스라이팅 하는 매뉴얼.

그런 매뉴얼은 "남을 위한 방전기"였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창조했습니다.

아무것도 없던 하얀 도화지에서 지난 4년간 우리를 위한, 우리 손으로 만든 매뉴얼.

적은 내부에 있다고, 주변의 극소수의 '못 된' 동료들이 비웃으며 냉소하던 그 매뉴얼이 이렇게 존재감 우뚝 솟아 올랐습니다.

처음 시작은 미약했습니다. 그러나 4년의 시간을 호시우보하며, 언젠간 우리 동료들과 선배, 후배들이 이 책을 공기와 물처럼 찾게 될 것이라는 확신과 신념으로 4년의 시간을 달려 "너를 위한 충전기 4"를 2024년 발간했고, 전국의 교육청, 학교 일반직 지방공무원들이 그야말로 '난리'가 나서 러시가 일었습니다.


이제 여러분들의 반응을 확실하게 확인했습니다.

그래서 2025년에도 "너를 위한 충전기 5" 발간을 결정하고, 모든 내용을 업데이트하는 완전한 증보판으로 발간에 착수했습니다.


전국에서 난다긴다하는 유명하고 열정에 넘친 분이 스스로 교육연맹의 "너를 위한 충전기 5" 집필진으로 참가하셨습니다.

이제 집필진을 가려서 받아야 될 정도로 "너를 위한 충전기"는 교육자치공무원의 필참서가 됐습니다.


어깨가 무겁습니다.

우리가 교육자치공무원 산별 노동조합 연맹으로 독립 존재해야하는 이유를 "너를 위한 충전기"가 증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끝까지 독립 산별을 유지하라 외치고 있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한국노총 교육청노동조합연맹과 함께 하십시오!

그리고 조합원들에게, 진정한 "너를 위한 충전기"가 되십시오.


환영합니다! 그리고 기대하세요!


"너를 위한 충전기 5"

세상을 뒤흔들겠습니다.


2025. 3. 8.


한국노총 교육청노동조합연맹

「너를 위한 충전기 5」 집필진 일동


「너를 위한 충전기 5」는 교육청노동조합연맹의 가맹 조합 조합원이 아니면 받아볼 수 없습니다.

교육청노동조합연맹에 가입은 각 시·도교육청별 1개의 노동조합만 가능합니다.

2025. 3. 25. 현재 교육청노동조합연맹에 가맹된 조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경기: 경기도교육청일반직공무원노동조합(경일노, 위원장 강동인)

2. 강원: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노동조합(강교노, 위원장 최승덕)

3. 충남: 충청남도교육청노동조합(충교노, 위원장 이관우)

4. 충북: 충북교육청노동조합(충북교육노조, 위원장 유여종)

5. 대구: 대구광역시교육청공무원노동조합(대교노, 위원장 윤태희)

6. 대전: 대전광역시교육청공무원노동조합(대교노, 위원장 채정일)

7. 울산: 울산광역시교육청일반직공무원노동조합(우리노조, 위원장 유재진)

8. 세종: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노동조합(세교노, 위원장 오창영)

9. 광주: 광주광역시교육청노동조합(광교노, 위원장 민소식)

a57b2025aabf940fe975a6d6e87b6f7f_1741434203_9859.jpg

관련자료

알림 0